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carbonate-type Polyurethane
Park SH, Lee SH, Noh ST, Kim KY
Polycarbonate형 Polyurethane의 합성과 물성
박순호, 이순홍, 노시태, 김계용
Abstract
Three kinds of polycarbonate glycols were synthesized from the condensation reation of 1,6-hexanediol, 1,4-buthanediol and neopentylglycol with diethycarbonate respectively. And polycarbonate-type polyurethanes were obtained with further reation of these glycols and MDI, and 1,4-buthanediol. Mechanical, thermal properties, water proofness and gas permeability were measur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urethane having hexamethylene, tetramethylene group in the main chain appeared near -30℃, -20℃ respectively. However neopentyl type polyurethane has much high Tg around 30-40℃.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increased, but the relative crystallinitie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the amp)tint of chain extender. From the gas permeability test, polycarbonate-type polyurethane membranes having tetramethylene and neopenthyl group showed higher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higher O2-selectivity than the polyether or polyester type polyurethane.
1.6-hexanediol, 1,4-butanediol 및 neopentyl glycol을 diethylcarbonate와 각각 축합 반응을 시켜 polycarbonate glycol을 합성하고, 이를 methylenediphenyldiisocyanate(MDI). 1,4-butanediol과 반응시켜 3종의 폴리카보네이트형 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제조한 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 및 내가수분해성 등을 측정하고. 고분자 막 소재로서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산소와 질소에 대한 투과실험을 행하였다. 합성한 폴리카보네이트형 우레탄수지 중 hexamethylene계 우레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근 부근의 유연하면서 강인한 필름이 얻어졌으며. tetrame-thyene계 우레탄 수지의 Tg는 -20℃ 부근의 값을 나타냈으나, neopentyl계 우레탄 수지는 Tg가 30∼40℃로 부근의 값을 나타내었다. 쇄연장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기계적 물성은 향상되었으나 상대적 결정화도는 감소되었다. 내가수분해성은 3종 모두 polyether형 우레탄 수지보다 15∼20%가량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기체투과 식험 결과 hexamethyle계와 neopentyl계 우레탄 수지는 기존의 우레탄 막 보다 높은 투과계수를 나타냈으며 질소에 대한 산소의 선택성이 크고 온도증가에 따라 투과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1. Schneider NS, J. Macromol. Sci.-Phys., 5, 23 (1969)
2. Brauman SK, J. Appl. Polym. Sci., 16, 243 (1972)
3. Reid JC, Eur. Polym. J., 5, 565 (1969)
4. Mori Y, Tanzawa H, Kobunshi, 22, 613 (1973)
5. Kim JH, Kim KY, Polym.(Korea), 10(6), 620 (1986)